본문 바로가기

사무실전화 상담

☎ 055-603-3007

휴대전화 상담

☎ 010-3020-4815

상담 가능 시간: 오전 9시 ~ 오후 6시

고용보험5

4대보험, 신고 안 하면 진짜 어떻게 되는지 아세요? _ 한양세무회계 [창원세무사 추천 / 김해세무사 추천] 안녕하세요, 한양세무회계 조규섭 팀장입니다.요즘처럼 사업이 활발해질 때, 꼭 챙겨야 할 게 하나 있습니다.바로 4대보험 신고입니다. 오늘은 "4대보험 신고를 깜빡하면 어떤 문제가 생길까?"를 중심으로,실제 사례를 토대로 친절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한 번쯤은 꼭 체크하고 넘어가세요!직원 고용 시 4대보험, 꼭 가입해야 합니다정규직, 계약직, 일용직 구분 없이,근로자를 한 명이라도 고용하면 4대보험 가입은 ‘의무’입니다.국민연금건강보험고용보험산재보험이 4개 모두 빠짐없이 가입해야 하고요.특히 일용직 근로자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고용보험 가입 대상이 됩니다.Tip:단 하루 일해도 고용보험 신고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2024년 직장가입자 4대보험 총정리 _ 한양세무회계사무소안녕하세요. .. 2025. 4. 27.
[창원세무사/마산세무사] 동생이나 사촌동생을 알바로 써도 되나요? 그럼 4대보험은 어떻게 되나요?_한양세무회계사무소 안녕하세요, 한양세무회계사무소입니다. 소규모 개인 사업을 시작하면서, 당장 직원을 구하기는 어렵고.. 믿을 만한 사람은 우리 가족 뿐이죠? 이럴 때 급하게 도와주는 내 동생, 얼마나 이쁜가요? 그런데 도와주는 내 동생 노력에 대한 보답도 하고, 나도 비용을 인정받고 하려면!! 직원 등록을 해야 합니다. 직원 등록을 하고 "원천세 신고/납부"를 통해서 비용으로 인정받고 종합소득세 절세의 효과도 가질 수 있죠. 그런데, 문제는 4대 보험입니다. 4대 보험!! 사실, 제2의 세금이라고 생각을 하시고 사장님들도 급여/세금 보다 보험료를 더 무서워하세요 진짜 더 무섭기도 하구요... 4대 보험 요율이 대부분의 근로자 소득세보다 더 높으니까요 ㅠㅠ [ 4대보험 요율 ] 근로자 부담 사업주 부담 합계 국민연금 4.5.. 2023. 10. 21.
[창원세무사/마산세무사] 2023년도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 원사업 지원 기준 변경 안내_한양회계사무소 안녕하세요, 한양세무회계사무소입니다. 2023년부터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에 대한 지원기준이 변경되어서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두루누리에 대한 상세 설명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창원/마산세무사] 두루누리 사회보험을 아시나요? 두루누리 사회보험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에게 희망을 여는 즐거운 소식!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입니다. insurancesupport.or.kr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이란? 소규모 사업을 운영하는 influs.tistory.com 2023년부터 지원기준이 달라집니다. 월평균 보수가 260만원 미만으로 상향되고, 지원신청일 직전 6개월간 취득 이력이 없는 근로자로 지원대상이 확대됩니다. 종합소득 연 4,300만원 미만으로 완화됩니다. 여러모로 사업주, 근로자에게 좋은 개선입.. 2023. 1. 5.
[창원/마산세무사] 4대 보험 가입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가족은 가입대상인가요? Q1. 만 60세 이상은 가입대상인가요? 만 60세 이상은 국민연금을 제외한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가입대상입니다. 국민연금은 만 60세가 넘으면 가입제외 대상이 됩니다. 구분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가입 대상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 모든 사업장의 근로자 근로기준법에 의한 모든 근로자 근로기준법에 의한 모든 근로자 가입 제외 대상 1) 1개월 미만 일용근로자 2) 1개월 60시간미만 단시간 근로자 3) 만 60세이상 1) 1개월 미만 일용근로자 2) 1개월 60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 3) 유공자 4) 의료급여 수급자 등 1) 만 65세 이후로 고용된 자 2) 1개월 60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 1) 선원법 또는 사립학교 교직원 연금법에 따라 재해보상이 되는 사업 등 연령.. 2022. 7. 24.
[창원/마산세무사] 2022년 7월 1일부터 고용보험료율이 인상됩니다. 2022년 7월 1일부터 고용보험 실업급여 보험료율이 0.2%p 인상되었습니다. 인상된 요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고용안정·작업능력 개발산업 보험료율은 0.25~0.85%로 현행 유지 됩니다. 2022.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