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한양세무회계 조규섭 팀장입니다.
최근 AI가 폭발적인 발전을 하고 있습니다.
세무회계쪽도 당연히 이 여파를 느끼고 있습니다.
AI는 전문가를 넘어설 수 있는 지식이 있지만, AI를 통해 접하는 지식이 사실이 아닐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명해드릴게요.
제가 AI에 아래와 같은 질문을 해봤습니다.
질문 : 연봉 7500만원일 경우 보험료, 원천세를 계산해줘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은 답을 얻었습니다.
ChatGPT의 말:
연봉 7,500만원(세전 기준)의 근로자에 대해 2025년 기준으로 4대보험과 원천세(근로소득세 + 지방소득세)를 계산한 결과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 기본 조건:
- 월 급여: 7,500만원 ÷ 12개월 = 6,250,000원
- 4대보험 요율은 2025년 기준 사용
- 연령: 만 18세 이상, 만 60세 미만 (모든 보험 적용 대상)
- 직장가입자, 일반 사업장 근로자 기준
- 산재보험은 업종 평균요율 **1.47%**로 가정하였습니다.
✅ 4대보험 및 원천세 계산표 (2025년 기준, 단위: 원)
구분 | 보험요율 | 총보험료 | 사업주부담 | 근로자부담 |
국민연금 | 9.0 (4.5+4.5) | 562,500 | 281,300 | 281,300 |
건강보험 | 7.09 | 443,100 | 221,600 | 221,600 |
장기요양보험 | 0.9182 | 57,400 | 28,700 | 28,700 |
고용보험 (실업급여) | 1.8 (0.9+0.9) | 112,500 | 56,300 | 56,300 |
고용안정/직능개발 | 0.25 | 15,600 | 15,600 | 0 |
산재보험 (가정 1.47%) | 1.47 | 91,900 | 91,900 | 0 |
소계(4대보험) | 20.5382 | 1,283,000 | 695,400 | 587,600 |
근로소득세 | - | 163,610 | - | 163,610 |
지방소득세 | - | 16,360 | - | 16,360 |
총 공제액(근로자) | - | - | - | 767,570 |
💡 정리
- 근로자 실수령액: 6,250,000 - 767,570 = 5,482,430원
- 사업주의 총부담액: 6,250,000 + 695,400 + 15,600 + 91,900 = 7,052,900원
필요하시면 업종별 산재보험 요율 적용이나, 비과세 수당이 포함된 급여 구조에 따른 세부 조정도 도와드릴 수 있습니다.
재질문을 통해 정보의 정정이 필요합니다
: 근로소득세가 부정확해, 학습된 국세청의 간이세액표를 다시 참조해서 계산해줘
이에 대해 아래와 같은 답을 얻었습니다.
ChatGPT의 말:
매우 좋은 지적이십니다. 말씀해주신 것처럼 월급여 6,250,000원 수준에서 근로소득세 163,610원은 지나치게 낮습니다. 이 수치는 단순 요율 적용이 아닌 국세청의 간이세액표 또는 연말정산 세액 계산 방식을 반영해야 더 정확합니다.
✅ 다시 정확하게 계산해드리겠습니다:
- 연봉: 75,000,000원 (월 6,250,000원)
- 공제 항목: 국민연금, 건강·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 근로소득공제 및 기본공제 적용
- 부양가족 수: 기본적으로 본인 1인만 있는 것으로 계산 (추가 가족 공제 없음)
📌 2025년 기준 예상 근로소득세 계산 (간이세액표 반영):
- 근로소득공제
연 7,500만원에 대한 근로소득공제는 약 1,353만원
→ 과세표준: 7,500만원 - 1,353만원 = 6,147만원 - 기본공제
본인 기준 공제 150만원 적용 → 과세표준: 5,997만원 - 근로소득세율 적용 (누진세율)
과세표준 5,997만원이면
👉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 구간
👉 세율: 24% (누진공제 522만원) -
산출세액 = 5,997만원 × 24% - 522만원 = 약 922만원
- 지방소득세 (지방세법 103조의2)
지방소득세 = 산출세액 × 10% = 92만원
✅ 최종 세액 (연간 기준)
구분 | 금액 |
근로소득세 | 9,220,000원 |
지방소득세 | 922,000원 |
총 원천세 | 10,142,000원 |
월별 원천세 | 845,200원 |
📌 수정된 공제표 반영 (4대보험 동일, 원천세만 조정)
구분 | 공제액 |
국민연금 | 281,300원 |
건강보험 | 221,600원 |
장기요양 | 28,700원 |
고용보험 | 56,300원 |
근로소득세 | 845,200원 |
총 공제액 | 1,433,100원 |
실수령액 | 4,816,900원 |
필요하시면 부양가족 2인, 3인 이상 기준이나 비과세 수당 포함, 혹은 연말정산 반영한 실효세율도 따로 안내드릴 수 있습니다. 추가 조건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갑자기 세금이 달라졌죠? 그리고 공제액 관련해서 사업주부담/직원부담분 구분계산분도 사라졌습니다.
이렇듯.. 완벽하게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물론 틀렸다는 사실만 알면 지적만 해주면 바로 고치니까요.
AI는 전문가와 함께 하면 더욱 더 파워풀하다는 사실!
믿고 맡길 수 있는 ‘세금 파트너’를 찾으세요!
기장료는 싸게 시작할 수 있지만,
나중에 놓친 세금, 과세 리스크, 벌금, 세무조사 대응까지 고려하면
결코 저렴하지 않습니다.
좋은 세무 파트너는 단순히 숫자를 적는 것이 아니라,
당신의 ‘사업 전체를 함께 보는 사람’입니다.
복잡한 세금, 혼자 고민하지 마세요
당신에게 딱 맞는 절세 전략
저희 한양세무회계가 함께 고민하겠습니다
언제든 편하게 연락주세요
따뜻한 봄과 함께
절세의 기쁨도 함께 피어나길 바랍니다
## 세금고민, 함께 나누세요
세금은 항상 고민하는 만큼 절세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 편하게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그런 세금 파트너에게 부담없이 연락주세요 ㅎㅎ
언제나 에너지 넘치게 세상
모든 세금 걱정을 함께 하는 세무회계사무소가 되겠습니다.
더욱 더 화이팅!!
연락하실 곳
TEL : 055-603-3007
PHONE : 010-3020-4815
✅ "2025 부가가치세 신고"
✅ "부가세 홈택스 신고 방법"
✅ "창원세무사 추천"
✅ "김해 부가세 세무사"
✅ "김해세무사 추천"
✅ "강남세무사 추천"
✅ "2025 부가세 예정신고"
✅ "김해 부가세 세무사 추천"
✅ "창원 부가세 절세 상담"
'세금이야기 > 원천징수 및 4대보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개정안 내용 분석_한양세무회계 [창원세무사추천/김해세무사추천] (0) | 2025.03.21 |
---|---|
국민연금이 인상됩니다_한양세무회계 [창원세무사추천/김해세무사추천] (1) | 2025.03.20 |
2025년 4대보험 보수총액신고를 할 시기입니다_한양세무회계사무소 [창원세무사 추천 / 김해세무사 추천 ] (2) | 2025.02.26 |
퇴직연금 대체 뭐야? DB와 DC형 _ 한양세무회계 [창원세무사 추천 / 김해세무사 추천] (14) | 2025.01.08 |
인적용역 기타소득자 소득자료 매월 제출 등_ 한양세무회계사무소 [창원세무사 / 김해세무사] (3) | 2024.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