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금이야기/소득세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어떤 유형으로 해야 할까? 안 하면 가산세? _ [종소세 세무사 추천 / 창원세무사 추천 / 김해세무사 추천]

by 한양세무회계_조규섭 팀장 2025. 3. 29.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한양세무회계 팀장

조규섭입니다.

 
이제벚꽃이 피기 시작해서

봄이 왔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믿을 수 없는 화마에

피해를 입으신 모든 분들께

애도의 말씀을 올리면서글을 올립니다.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어떤 유형으로 해야 할까.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달입니다. 

2025년에도 어김없이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종합소득세 확정신고가 진행되며, 

2024년 귀속 소득에 대해 신고해야 합니다.

최근 종합소득세 신고인원은 해마다 급증하고 있습니다.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신고인원은
2019년 240만 명
2020년 270만 명
2021년 400만 명
2022년 470만 명
2023년에는 무려 550만 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처럼 종합소득세 신고는 

이제 특정 직종에 한정된 일이 아닌,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부동산·금융소득자 등 

다양한 사람들의 필수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유형, 어떻게 나뉘나요?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벌어들인 

다양한 소득을 종합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기본적으로 아래 6가지 소득이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개인사업자, 프리랜서)
근로소득 (2곳 이상 근로자 등)
연금소득
기타소득 (인적 용역, 원고료, 강연료 등)

 


이 중 2개 이상의 소득이 있거나, 

기타소득·사업소득이 있는 경우 

대부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입니다.

 

신고유형은 

크게

단순경비율 신고

기준경비율 신고

기장신고로 나뉩니다.

 

단순경비율 신고

수입금액에서 일정 비율을 필요경비로

자동 차감하는 소규모 사업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기준경비율 신고

주요 경비(임차료, 인건비 등)를

실제 집계하고

나머지는 기준경비율을 적용하는

일정기준이상의 사업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기장신고

장부를 작성하여

실제 수익과 비용을 기재하는

신고입니다.

 

업종에 따라

신고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거나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합니다.

 

 

업종 성실신고
대상자
복식부기
의무자
간편장부
대상자
기준경비율
적용대상자
단순경비율
적용대상자
농업·임업 및 어업, 광업
도매 및 소매업 (상품중개업 제외)
부동산매매업
15억 이상 3억원 이상 3억원 미만 6천만원 이상 6천만원 미만
제조업
숙박 및 음식점업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수도·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업
건설업 (비주거용 건물 건설업 제외)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 (주거용 건물 개발 및 공급업에 한정)
운수업 및 창고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상품중개업, 욕탕업
7.5억 이상 1억5천만원 이상 1억5천만원 미만 3천6백만원 이상 3천6백만원 미만
부동산 임대업
부동산업 (부동산매매업 제외)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가구내 고용활동
5억 이상 7천5백만원 이상 7천5백만원 미만 2천4백만원 이상 2천4백만원 미만

 

신고 안 하면? 가산세 폭탄!

종합소득세 신고는 

단순한 의무를 넘어서, 

하지 않을 경우 

여러 가지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가산세 명칭 내용 금액 계산
신고불성실 가산세 신고하지 않거나 과소신고할 경우 무신고 시: 산출세액의 20%
과소신고 시: 10~40%
납부불성실 가산세 기한 내 세액 미납 시 미납세액 × 일수 × 0.022% (2024년 기준)
예정신고 무신고 가산세 예정신고 누락 시 2023년부터 50% 경감 적용되나 부과됨
사업용계좌 미신고 가산세 사업용계좌 미신고 및 미사용 수입금액의 0.2%
성실신고확인서 미제출 가산세 성실신고대상자가 확인서 미제출 시 수입금액의 0.02% 또는 산출세액의 5% 중 큰 금액

 

 

 

특히

성실신고 확인대상자(일정 금액 이상 수입)는

신고 자체 외에 ‘성실신고확인서’도

함께 제출해야 하며,

이를 미제출할 경우

추가 가산세가 부과됩니다​.

 

 

세금은 납부도 중요하지만

리스크 관리도 중요합니다.

 

종합소득세 신고는 

단순히 세금을 납부하는 절차가 아니라, 

나의 소득을 투명하게 정리하고 

세무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과정입니다.
본인의 소득 구조를 잘 파악하고, 

적절한 신고유형을 선택해 기한 내에 성

실히 신고해야 가산세 없이 

절세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세금고민, 함께 나누세요

세금은 항상 고민하는 만큼 절세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 편하게 고민을 털어놓을 수 있는

그런 세금 파트너에게

부담없이 연락주세요 ㅎㅎ

 

언제나 에너지 넘치게 세상

모든 세금 걱정을 함께 하는

세무회계사무소가 되겠습니다.

 

더욱 더 화이팅!!

 

 

연락하실 곳

TEL : 055-603-3007

PHONE : 010-3020-4815 

반응형

댓글